
Come Sit! (컴 싯!)
좁은 스튜디오 작업 공간을 위해 변형 가능한 좌식 라운지
‘Come Sit!’은 다양한 스튜디오 상황에 사용되는 좌식 라운지입니다. 따듯한 색감과 폭신한 가구용 스펀지로 만들어진 ‘Come Sit!’은 차가울 수 있는 작업 공간안에서 새로운 분위기를 선사합니다. 혼자만의 평온을 즐길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들과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나눌수 있다는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이 라운지는 사용자의 수와 용도에 따라 세가지 모드로 변형 가능 합니다.
이 과제의 챌린지는 23년전에 지어진 RISD 산업 디자인 전공 건물안에서 학생들을 위해 개선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기였습니다.
작업년도:
2019 가을 학기 (Office Design Class).
도구:
재봉틀.
재료:
천, 가구용 스펀지, 폼 코어.
2019 가을 학기 (Office Design Class).
도구:
재봉틀.
재료:
천, 가구용 스펀지, 폼 코어.
Question... 🤔
어떻게 산업 디자인 학생들이 스튜디오에 와서 작업하고 싶게 만들 수 있을까?
현재 학생들은 필수가 아닌 이상 스튜디오에 와서 작업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스튜디오는 작업공간을 넘어서 또래 학생간의 사회공간이므로
이는 학생들 사이의 공동체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스튜디오는 작업공간을 넘어서 또래 학생간의 사회공간이므로
이는 학생들 사이의 공동체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Problem
리즈디 산업전공 건물 구조

아이디어 구상에 앞서 건물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학생들이 제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간은 2, 3, 4층이였습니다.
각 층마다 다양한 크기의 스튜디오 공간이 있었습니다. 그 학기의 수업에 따라 학생들은 2, 3, 4층 중 한 층의 스튜디오(교실)에 있는 책상을 한 학기동안 사용하였습니다.
전공 건물의 가장 큰 문제점
전공 건물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3층과 4층이였습니다. 각 층에서 8-9개의 수업이 동시에 진행되었고 가벽으로 분리가 되어 있어 따로 분리된 공간이 없었습니다. 좁은 공간 분할로 3,4층은 수업 외 공간이 전혀 없었습니다.
전공 건물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3층과 4층이였습니다. 각 층에서 8-9개의 수업이 동시에 진행되었고 가벽으로 분리가 되어 있어 따로 분리된 공간이 없었습니다. 좁은 공간 분할로 3,4층은 수업 외 공간이 전혀 없었습니다.


가벽으로 분리된 스튜디오
책상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공간
Research
초기 설문조사
24명의 리즈디 산업 디자인 전공 학생들과의 설문조사
어떤 스튜디오 작업공간을 사용하나요?

스튜디오에서 얼마나 자주 작업하나요?![]()
![]()


다른 공간에 비해 스튜디오 작업을 선호하나요?
![]()


선호해요.
︎집단작업과 다른 학생들과의 교류
︎작업과 휴식의 분류 (집중 방해요소가 적음)
︎어지럽힐 수 있음
안 선호해요.
︎스튜디오 의자와 책상이 불편
︎너무 많은 사람이 있을 때 방해
︎칙칙하고 우울한 분위기
︎프라이버시 방해
︎다른 학생들 작업으로 인해 좁은 공간
︎휴식공간 부족
인사이트
학생들은 작업 공간이 불편하기 때문에 스튜디오에서 작업하기를 꺼려하는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공 건물 자체와 가구들이 딱딱하고 공장같은 느낌을 내서 오래있고 싶지않아했습니다. 갈색, 회색, 흰색과 검정으로 채워진 공간이 분위기를 칙칙하고 우울하게 만든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학생들은 작업 공간이 불편하기 때문에 스튜디오에서 작업하기를 꺼려하는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공 건물 자체와 가구들이 딱딱하고 공장같은 느낌을 내서 오래있고 싶지않아했습니다. 갈색, 회색, 흰색과 검정으로 채워진 공간이 분위기를 칙칙하고 우울하게 만든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차 인터뷰
문제 공간인 3,4층을 사용하고 있는 17명 학생들과의 인터뷰 요약

데드 스페이스
스튜디오 공간안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작은 데드 스페이스들이 있습니다. 벽이나 모서리 공간 등 여러 활용될 수 있지만 활용되지않는 공간들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스튜디오 공간안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작은 데드 스페이스들이 있습니다. 벽이나 모서리 공간 등 여러 활용될 수 있지만 활용되지않는 공간들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모서리 공간
학생들은 교실안에서 아무 책상이나 고를 수 있다면 만장 일치로 코너에 있는 책상을 고르겠다고 했습니다. 바쁜 스튜디오안 다른 학생들과의 접촉이 적은 모서리 공간을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낀다고 하였습니다.
학생들은 교실안에서 아무 책상이나 고를 수 있다면 만장 일치로 코너에 있는 책상을 고르겠다고 했습니다. 바쁜 스튜디오안 다른 학생들과의 접촉이 적은 모서리 공간을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낀다고 하였습니다.

공간 분리
쉬는 시간에는 학생들은 작업과 휴식의 분리를 원했습니다. 스튜디오안에 쉴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어떤 학생들은 아예 건물 바깥으로 나간다고 하였습니다.
쉬는 시간에는 학생들은 작업과 휴식의 분리를 원했습니다. 스튜디오안에 쉴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어떤 학생들은 아예 건물 바깥으로 나간다고 하였습니다.
Solution...💡️
학생들에게 더욱 즐겁고 편한 작업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1. 편안하고 따듯한 앉고 쉴 수 있는 공간
2. 작은 공간안에서 작업과 휴식공간의 분리
3. 또래 학생들과 교류할 수 있는 공간
Ideation
스튜디오내 미니 라운지 공간
2019년 가을 학기동안, 오피스 디자인 수업은 전공 건물 2층에서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2층은 건물 구조상 두개의 스튜디오(교실)만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다른 층보다 적은 학생수로 넓은 공간에서 더 나은 공간 분할이 이루어졌습니다. 오피스 디자인 반은 우리 반만을 위해 교실 뒤에 미니 라운지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좁은 공간이였지만 소파, 의자 등으로 꾸며졌습니다.
이 미니 라운지는 반안에서 좋은 분위기를 형성 시켜줬고 우리 반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 주었습니다. 그리하여 다른 반보다 학생들이 더 자주 스튜디오를 찾아왔습니다.
2019년 가을 학기동안, 오피스 디자인 수업은 전공 건물 2층에서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2층은 건물 구조상 두개의 스튜디오(교실)만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다른 층보다 적은 학생수로 넓은 공간에서 더 나은 공간 분할이 이루어졌습니다. 오피스 디자인 반은 우리 반만을 위해 교실 뒤에 미니 라운지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좁은 공간이였지만 소파, 의자 등으로 꾸며졌습니다.
이 미니 라운지는 반안에서 좋은 분위기를 형성 시켜줬고 우리 반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 주었습니다. 그리하여 다른 반보다 학생들이 더 자주 스튜디오를 찾아왔습니다.

격식없는 논의와 대화
이 라운지가 수업중 작업 시간에 또래 학생들과 함께 앉아서 아이디어를 논의하고 토론하는 장소가 되었습니다. 편안한 분위기에서 나오는 대화는 서로에게 주는 피드백을 더 자연스럽게 나오게 했습니다.
캐주얼하고 편안함많은 학생들이 서로의 눈높이 맞춰 대화를 나눌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었습니다. 노트북을 사용해야하는 시간에는 딱딱한 의자랑 책상에서 벗어나 라운지에서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더 편안한 휴식과 쉬는 시간전에는 따로 보냈던 쉬는 시간을 라운지 공간에서 함께 간식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또 작업 시간 중에 피곤하면 잠깐 휴식과 낮잠을 잘 수 있었습니다.
캐주얼하고 편안함많은 학생들이 서로의 눈높이 맞춰 대화를 나눌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었습니다. 노트북을 사용해야하는 시간에는 딱딱한 의자랑 책상에서 벗어나 라운지에서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더 편안한 휴식과 쉬는 시간전에는 따로 보냈던 쉬는 시간을 라운지 공간에서 함께 간식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또 작업 시간 중에 피곤하면 잠깐 휴식과 낮잠을 잘 수 있었습니다.
Color Exploration
색의 힘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은 색으로 공간을 분리 하여 착시효과를 내왔습니다. 색을 전략적으로 사용해 공간안에 다른 분위기를 선사했습니다. 또한 색과 심리는 가깝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듯한 색감은 차가운 색감과 또 다른 감정을 자아냅니다. 공간에 어떠한 색을 사용하냐에 따라 분위기를 확 바꿀수 있습니다.
색을 이용한 공간분리 실험

먼저 색을 이용한 공간 분리가 스튜디오 공간에서 어떻게 작용할지의 실험을 해봤습니다.
주황색 종이를 모서리에 붙여 보았습니다. 그러자 모서리는 아주 다른 공간으로 변하였습니다. 그 속에 앉으면 색이 자신을 감싸안는 기분을 주었습니다.
주황색 종이를 모서리에 붙여 보았습니다. 그러자 모서리는 아주 다른 공간으로 변하였습니다. 그 속에 앉으면 색이 자신을 감싸안는 기분을 주었습니다.
Material Exploration
재료 선택
제품을 사용했을 때 편안한 느낌을 주기 위해선 재료 선택이 중요했습니다. 만졌을 때 부드러움과 폭신함을 주기 위해 얇은 카펫같은 천과 가구용 폼이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제품을 사용할 때 안전한 구조를 유지하기위해 제품이 접히는 부분에 두껍고 튼튼한 벨크로가 사용되었습니다.
여러 천을 직접 만져보며 제일 부드럽지만
적당한 두께감을 갖고 있는 천을 선택하였습니다.


노란색은 에너제틱하면서 따듯합니다.
또한 스튜디오 공간에서 볼 수 없는 색이기 때문에 공간 분리에 탁월합니다.
또한 스튜디오 공간에서 볼 수 없는 색이기 때문에 공간 분리에 탁월합니다.


가구용 폼 (2 inch 두께)
벨크로 (2 inch 넓이)
Prototype
초기 모델
초기 모델은 스튜디오 안에 접었다 폈다 할수있는 좌식 공간을 생각해봤습니다. 사용하려면 모서리 공간에 기대어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땐 접어서 락커 사이에 넣을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피드백 후 초기 모델의 문제점들
보관위치의 문제점
사용자의 심리가 시야에서 멀어지면 기억해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락커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보니 사용자들이 생각해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의 문제점
너무 많은 방법으로 접었다 필 수 있어서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하는 지 모를 수 있습니다. 매번 사용법을 다시 익히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접히는 방식에 따라 땅에 닿았던 부분에 앉아야 할 수도 있어서 쉽게 더러워질 수 있습니다.
사용공간의 문제점
구조 자체가 모서리에 기대어 사용해야됨으로 공간 활용이 떨어집니다. 충분한 모서리 공간이 없는 스튜디오는 사용이
보관위치의 문제점
사용자의 심리가 시야에서 멀어지면 기억해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락커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보니 사용자들이 생각해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의 문제점
너무 많은 방법으로 접었다 필 수 있어서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하는 지 모를 수 있습니다. 매번 사용법을 다시 익히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접히는 방식에 따라 땅에 닿았던 부분에 앉아야 할 수도 있어서 쉽게 더러워질 수 있습니다.
사용공간의 문제점
구조 자체가 모서리에 기대어 사용해야됨으로 공간 활용이 떨어집니다. 충분한 모서리 공간이 없는 스튜디오는 사용이
공간 다시보기




스튜디오를 다시보니 교실안에 있는 작품 전시벽 밑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데드 스페이스가 있었습니다. 총 33inch (84cm)로 큰 공간이였습니다.
그러므로 모서리 공간에 의지하는 대신에 디자인 자체가 공간을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모서리 공간에 의지하는 대신에 디자인 자체가 공간을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최종 모델
이 최종 모델은 초기 모델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디자인되었습니다.






최종 모델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스튜디오안 작품 전시벽 밑에 걸려있을 수 있습니다. 전 모델과 달리 쉽게 펼치고 접을 수 있는 디자인이고 접는 방식도 더 간단해져 사용자가 쉽게 사용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모델은 파이널 디자인이 데드 스페이스(33inch)에 맞춰들어갈 수 있는 비율로 만들어졌습니다.
︎간단해진 접이 방식
︎이해하기 쉬운 사용모드
︎쉽게 접근가능
︎간단해진 접이 방식
︎이해하기 쉬운 사용모드
︎쉽게 접근가능
Final Design



혼자서, 둘이서, 펼쳐서 그룹으로도 사용가능


강력한 벨크로로 양 옆을 포개 접어 모서리 공간 설치

벽에 걸려있을 때 모습
사용 방법











감사합니다!



Alice Kim 2022.